• 돌아가기
  • 아래로
  • 위로
  • 목록
  • 댓글

실생활을 위한 아파트 면적 이해하기

조회 수 27 1 1 복사

MDAxNzMyMTcyMDIzMjE2.FWCTc7300xa8pn3zHEcZ7MR7NS3XGgw2aLW7hKT2QeUg.-e4oNG35JTztoLJXwvAaOPJZXuan4TQuC2RypAoJwxcg.JPEG

 

아파트 면적과 관련된 용어는 크게 전용면적, 공용면적, 공급면적, 그리고 서비스 면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. 전용면적

  • 세대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면적으로 거실, 침실, 주방 욕실 등 실내 공간이 포함
  • 발코니(베란다)나 공용 복도 등은 포함되지 않음
  • 세대 내부의 실질적인 사용 면적이므로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사용
  • 표기 방식 : 보통 ㎡로 표기되며, 평수로 환산하기도 함(1평=3.3㎡)

 

2. 공용면적

  • 아파트 단지에서 입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면적
  • 엘리베이터, 계단, 복도, 로비 등이 포함
  •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(헬스장, 도서관 등)도 포함될 수 있음
  • 개별 세대가 전적으로 사용하는 면적은 아니지만, 각 세대에 일정 비율로 배분됨

 

3. 공급면적

  •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합친 면적 (공급면적=전용면적+공용면적)
  • 부동산 매매/임대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면적 단위
  • 분양 광고에서 주로 표시되는 면적
  • 실제 사용하는 면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전용면적 확인이 중요함

 

4. 서비스 면적

  • 법적으로 면적 산정에 포함되지 않지만, 입주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
  • 발코니(베란다), 테라스, 다용도실 등
  • 발코니 확장 여부에 따라 사용 면적이 달라질 수 있음
  • 서비스 면적은 분양 시 옵션 확장 항목으로 제공되기도 함

 

image.png

 

✔ 면적 비교 (예시)

  • 전용면적 : 59㎡ (실내 거주 면적)
  • 공용면적 : 21㎡ (복도, 엘리베이터 등 공동 공간)
  • 공급면적 : 80㎡ (전용면적+공용면적)
  • 서비스면적 : 발코니 확장 시 추가 10㎡ 사용 가능

 

아파트 면적 용어는 아파트 선택과 계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,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정확히 이해하고 비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😊

 

위 내용과 관련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이나 비밀 댓글로 남겨 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.

 

아울러 이외 광주 아파트와 관련된 다른 궁금증은 Q&A 게시판에 남겨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. 🙏

신고 공유 스크랩
이수연
이수연

바른공인중개사

댓글 1

댓글 쓰기

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.

에디터
취소 댓글 등록
목록
검색 알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