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대 은행 대출금리 아직 ‘4%대’…실수요자 이자 부담만 커져
링크 | https://www.donga.com/news/Economy/artic...31128105/1 |
---|
5대 은행 대출금리 아직 ‘4%대’…실수요자 이자 부담만 커져
📉 [5대 은행 대출금리 여전히 4%대…실수요자 부담 증가] 🏦💰
✅ 1.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는 그대로!
📌 기준금리: 3차례 인하 → 2%대 진입
📌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(1월): 연평균 4.634% (전월 대비 -0.116%p)
📌 주택담보대출 금리(1월): 4.436% (전월 대비 +0.012%p 상승)
→ 기준금리 인하에도 대출금리 하락 효과 미미
✅ 2. 예대금리차 6개월 연속 확대 → 은행 마진 증가
📌 예대금리차(1월):
예금은행 평균: 1.46% (전월 대비 +0.03%p)
5대 은행 평균: 1.376%p (전월 대비 +0.208%p)
신한은행: 1.42%p (전월 대비 +0.44%p)
→ 은행들은 예금금리는 내리고 대출금리는 유지해 마진 확대 📈
✅ 3. 가계부채 관리 강화 → 대출금리 상승 원인
📌 2024년 9월: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(DSR) 2단계 도입
📌 2024년 7~8월: 막차 대출 수요 폭발 → 은행들 대출금리 인상 대응
→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가 오히려 대출금리 상승 초래? 🤔
✅ 4. 은행 압박에 일부 대출금리 인하 움직임
📌 우리은행:
2월 28일: 주담대 5년 변동금리 가산금리 -0.25%p
3월 초: 신용대출 금리 -0.20%p 예정
✅ 5. 대출금리 하락, 2월부터 본격 반영 예상
📌 한국은행 전망:
1월 중순부터 가산금리 인하 → 2월 대출금리부터 반영될 것
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여전히 상승 중!
📊 결론:
🏦 은행들, 가계부채 관리 핑계로 대출금리 유지 → 실수요자 부담 가중 📈
📉 금리 인하 기대에도 가산금리 조정이 느려 효과 체감 어려움
📢 "실제 대출금리 인하는 2월 이후 반영될 가능성, 하지만 변동형 대출자는 계속 주의 필요!" 🚨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