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인구 5,000만 명 중 2,500만 명이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습니다. 즉, 두 사람 중 한 명은 청약통장을 소유하고 있는 셈이죠. 많은 사람들이 결혼 준비나 자녀 출산 후 ‘내 집 마련’을 고민하면서 자연스럽게 청약을 고려하게 됩니다. 하지만 실제로 얼마 정도 자금이 필요한지 알고 준비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.
코로나 팬데믹과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아파트 분양가도 점차 올라가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, 청약에 당첨되면 어느 정도 자금이 필요할까요? 올해 초 분양된 운암자이포레나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.
운암자이포레나의 국민평수인 84㎡ 중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84A 타입의 공급금액은 759,000,000원입니다. 아파트 공급금액은 계약금(10%), 중도금(60%), 잔금(30%)으로 나누어 납부하게 되며, 계약금만 해도 75,900,000원이 필요합니다. 그리고 발코니 확장을 선택하게 되면 추가로 30,000,000원이 들죠. 대부분 발코니 확장을 하지 않으면 추가 옵션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확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또한, 주방 스타일 업그레이드 옵션을 선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6,380,000원이 들고, 모든 방에 에어컨을 설치한다고 가정하면 6,640,000원이 추가됩니다. 이 모든 것을 합치면 약 802,020,000원이 필요하게 됩니다. 기본 분양가보다 약 4천만 원이 더 필요하죠.
참고로 운암자이포레나는 중도금 무이자이지만, 다른 아파트의 경우 중도금 이자 후불제일 수 있어 추가로 이자도 고려해야 합니다. 대부분 중도금은 대출을 통해 해결하지만, 잔금을 낼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잔금을 마련하기 어려워 집단대출을 받게 되는데, 은행에서는 감정가의 70% 정도를 대출해줍니다. 예를 들어, 감정가가 7억이면 4.9억 대출이 가능하지만, 감정가가 3억이면 2.1억만 대출이 가능합니다. 따라서, 예산을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으면 나중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청약에 당첨되는 것도 어렵지만, 실제로 ‘내 집’을 마련하는 과정은 더 큰 준비가 필요합니다.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.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!
2. 중요한 부분 강조하기
3. 제목과 부제목 꼭지를 활용하기
4. 섬네일 이미지 만들기
5. 과거 흐름과 현재 흐름 추가하기